Simple Acts of Listening: Sound Effects Seoul-Den Haag 2022

심플 액트 오브 리스닝: 사운드 이펙트 서울-헤이그 2022

Artists: Ha Cha Youn, Go-Eun Im, Gina Kim, Byungjun Kwon, Heesoo Kwon, Seulgi Lee

참여작가: 권병준, 권희수, 김진아, 이슬기, 임고은, 하차연

Curators: Baruch Gottlieb, Ji Yoon Yang

큐레이터: 바루흐 고틀립, 양지윤

Dates: November 4th - November 27th, 2022

전시: 2022년 11월 4일(금) - 11월 27일(일), 웨스트 덴 하그

Venue: West Den Haag

장소: 웨스트 덴 하그

Presented by Sound Art Korea, West Den Haag

주최: 사운드 아트 코리아, 웨스트 덴 하그

Sponsored by Arts Council Korea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Opening on November 4th

오프닝 11월 4일(금)

Discussion with artists and curators: 17:00- 18:30

패널 토론: 17:00~18:30

Opening: 19:00

오프닝: 19:00

Performances: 19:30

퍼포먼스: 19:30

Conversation: November 26th 15:00

폐막 행사: 11월 26일(토) 15:00

Participants: Im Go-Eun with Baruch Gottlieb

아티스트 토크: 11월 26일(토) 15:00

참여 작가: 임고은 & 참여 큐레이터: 바루흐 고틀립

Sound Art Korea

사운드 아트 코리아

Sound Art Korea, launched in 2007, produced Sound Effects Seoul (SFX Seoul), an international sound art festival based in Seoul, Korea. The founders, Baruch Gottlieb, then a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t Yonsei University, and Ji Yoon Yang, a contemporary art curator, have collaborated to create a total of 6 festivals until now.
A number of Korean and international sound artists have been introduced to a broad audience in Seoul. The festival has brought together various cultural practitioners and citizens, including visual artists, media artists, performance artists, contemporary musicians, electronic musicians, literary writers, political scientists, and cultural critics.
As an output of the first festival, in 2008, Sound Effect Seoul published 〈Sound + Art〉 (Art Culture Publishing House 2008), a book covering theoretical challenges, questions, and achievements in sound art from a Korean perspective. As of 2022, it is the only publication on sound art that has been officially published so far in Korea and is used as a textbook in the field for university lectures and museum exhibitions. In 2017, SFX Seoul and the publication 〈Sound + Art〉 was featured in a survey article by Professor Katsushi Nakagawa of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and in the artic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und Art in Asia: Sound Effects Seoul〉 by Professor Tomaro Kaneko of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2007년 시작한 〈사운드 이펙트 서울〉은 국제적인 사운드 아트 페스티벌이다. 당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의 교수로 재직 중이던 바루흐ᅠ고틀립과ᅠ현대 미술 큐레이터 양지윤이 함께 2019년까지 총 6회의 〈사운드 이펙트 서울〉을 기획했다. 이를 통해 현재 가장 활발히 활동 중인 많은 국내외 사운드 아티스트들을 적극적으로 서울의 관객들에게 소개했다. 시각 예술가, 미디어 아티스트, 행위 예술가, 현대 음악가, 일렉트로닉 뮤지션, 문학가, 정치학자와 문화비평가 등 다양한 문화 실천가들과 시민이 함께 하는 축제를 벌여 왔다. 2017년 요코하마 국립대학의 나카가와 카츠시 교수와 동경예술대의 카네코 토마로 교수는 〈아시아 사운드 아트의 발전에 관한 연구: 사운드 이펙트 서울〉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사운드 이펙트 서울〉은 사운드 아트의 이론적 성과들을 망라한 단행본 이론적ᅠ성과들 단행본 〈사운드+아트〉(미술문화ᅠ출판사, 2008)를ᅠ출판한 바 있다. 사운드 아트에 관해서 지금까지 정식 발간된 유일한 출판물로서, 분야의 교재로대학 강의와 미술관 전시에서 쓰이고 있다.

Simple Acts of Listening: Sound Effects Seoul-Den Haag 2022

심플 액트 오브 리스닝: 사운드 이펙트 서울-헤이그 2022

Sound Effects Seoul (SFX Seoul) started in 2007 as the first international sound art festival, based in Seoul.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sound artists, noise artists, and various forms of sound-oriented experimentation in Korea. For this second foreign edition of SFX Seoul, we feature the work of six Korean artists in the former US Embassy to the Netherlands, designed by Bauhaus architect Marcel Breuer. Korea is still today under the occupation of the United States. Its current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ditions are all deeply affected by this pseudo-colonial position. The infusion of the sound work of Korean artists into the architecture of American foreign power now provides an opportunity to listen to and rethink these relations in the here and now.

Gina Kim’s Tearless projects visitors into the ‘Monkey House’, a medical detention center where women compelled to sexually service the U.S. military in South Korea were interned from the 1970s until 2004. Through AR and VR, Kim invites audiences to experience the irony of exploring the Monkey House inside the former US embassy.

Byungjun Kwon’s Ochetuji' ladder-bot crawls and flattens itself against the ground in a diligent performance of the Buddhist five-limbed prostration (Ochetuji) an act of veneration and submission that seeks to cast aside pride, hubris, and foolishness.

Ha Cha Youn’s MAT, BOAT, CARPET-my mat, a boat for family, a large carpet for all is an installation with approximately one thousand plastic bottles tied together to form a mat, a minimal living space for someone who has to leave their family, their community. A family might huddle up and cling together In the boat, while the carpet recalls a magical flying device that might transport one across the seas

In Mago Leymusoom, Heesoo Kwon recalls the ancient Korean mythology of Mago the Crone through an avatar made by 3D scanning images of her own mother. Kwon reinterprets pregnancy, birth, and the female body that performs these processes hinting at a world beyond patriarchy.

Go-Eun Im’s research details the life and practices of women botanists who were excluded from Western botanist history and proposes a non-linear narrative to reconsider our relationships to nature.

Seulgi Lee presents a sound installation piece, REUS. (The title comes from the Dutch word for giant.) Ropes thread through different corners of the Embassy building to form an echoing device in a work that articulates the paradoxical scales of power of nation and citizen.

Sound Art is an experience of art primarily accessible through listening. We hear all day, but do we listen? Sound can bring people together in a way visual perception does not. Sound surrounds us in vibrations that produce a common physical experience which connects our bodies. Sound art exists in radical openness to the world, the world as it is and not as it might or should be. The world is speaking to us, and all the evidence needed to understand the real complexity of our political and personal circumstances is available to us through listening. The simple act of listening, to oneself and to each other, is the beginning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world and imagining emergent possible worlds.

사운드 이펙트 서울(SFX 서울)은 2007년 서울을 기반으로 시작한 국제적인 사운드 아트 페스티벌이다. 사운드 아티스트, 노이즈 아티스트, 현대음악가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사운드 아트의 개념과 실천을 확장해 왔다. 〈심플 액트 오브 리스닝: 사운드 이펙트 서울-헤이그 2022〉는 SFX 서울의 두 번째 국외 편이다. 전시가 열리는 웨스트 덴 하그 공간은 바우하우스 건축가 마르셀 브로이어가 설계한 구 미국 대사관 건물이다. 건물 자체가 갖는 건축적, 음향적 특성을 활용하여 한국 예술가들 6명의 사운드 아트 작업을 소개한다.

김진아의 〈소요산Tearless〉은 한국의 미군 위안부를 수용했던 ‘몽키 하우스’를 관객이 VR과 AR로 체험하는 프로젝트다. 몽키 하우스란 1970년대 초 성병에 감염되었다고 추정되는 위안부 여성들을 고립시키고 치료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설립하고 미군의 의약기술과 인력으로 운용한 감옥의 별칭이다. 몽키하우스 건물을 구 미대사관의 건물 안에서 발견하는 아이러니를 체험하길 권한다.

권병준의 오체투지 사다리봇은 바닥을 기어다니며 절을 한다. 제 신체를 가장 낮추는 자세를 반복하는 오체투지는 인간의 교만을 버리고 제 어리석음을 참회하는 불교의 예법이다. 인간은 하지 않는 오체투지를 로봇이 열심히 한다. 위로 오르기 위한 도구인 사다리는 수평적으로 삐걱이는 행진을 이어가고 제 고단한 삶을 노래한다. 하차연의 〈매트, 보트, 카펫〉은 1,000여개의 페트병을 이어붙여 만든 설치 작업이다. 한 사람이 간신히 몸을 뉠 수 있는 매트는 뗏목의 일부로 긴 줄로 연결되어 있다. 가족, 마을이나 나라 같은 자신의 공동체를 떠나야만 했던 누군가의 삶이 가진 최소한의 면적을 매트로, 가족이 함께 탈 수 있는 작은 보트로, 그리고 원하는 이를 실어 하늘을 날 수 있는 마법의 카펫으로 작업은 역할한다.

임고은의 〈당신을 위한 식물 표본집: 우리의 눈이었던 진주〉는 계몽주의적 이성의 신화에서 벗어난 기억과 서사의 가능성을 시적으로 말한다. 바다의 변화를 겪어온 진주의 목소리로, 우리가 거주해온 집의 빛과 그림자를 귀하고 기이하게 표현한다. 내가 아닌 다른 존재, ‘영원한 꽃이 웃음 짓는 정원’을 감각할 가능성을 탐구한다. 권희수는 〈마고 레이무숨〉을 통해 고대 한국 신화 속 마고할미를 작가의 어머니를 스캔한 3D 아바타로 만들어 재해석한다. 임신과 출산의 과정, 이를 수행하는 여성의 신체를 재해석하여 가부장제 너머의 세계관의 역사에 주목한다.

이슬기는 플랑드르에서 거인을 의미하는 〈러스REUS〉 설치 작업은 전시 공간을 밧줄로 연결하여 소리를 울리는 장치를 만든 것이다. 작가는 거인이 사실은 아주 작은 존재일 수 있음을 상상하기를 권한다. 〈데파튜르DEPATTURE〉 영상 작업에서 사람들이 기억하지 못하는 전설 속 가르강튀아 거인 이야기와 프랑스 전통민요를 들려준다

시각적으로 공간을 인지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우리는 사운드를 인지한다. 우리 신체 전체를 울리는 진동으로서 사운드 웨이브는 일상에서 물리적 경험을 제공한다. 우리는 하루 종일 무엇인가를 듣지만, ‘내가 진짜 무엇을 들었는가’는 여전히 질문으로 남아 있다. 지금 세계가 처한 정치적이면서도 개인적인 상황들은 이해도 극복도 어려운 듯 여겨진다. 그러나 나 자신과 서로를 경청하는 행위가 이해의 시작이며, 그다음 세계를 이행의 시작일 것이다.

MAT, BOAT, CARPET-my mat, a boat for family, a large carpet for all

hachayoun

MAT, BOAT, CARPET-my mat, a boat for family, a large carpet for all, plastic bottles, various strings, variable size, 1988/2021

MAT, BOAT, CARPET-my mat, a boat for family, a large carpet for all is an installation made by attaching a thousand PET bottles together. The mats are just big enough for one person to lie on and are connected by ropes to form a loose raft. The mats represent the minimum space one life can claim, the life of someone who had to leave behind their community, whether family, village, country, and can function as a small boat in which a family might ride together, or a flying magic carpet that can carry whoever wants to be transported. This work began in Nîmes in 1988, where the artist was residing at the time and witnessed the town being inundated by floodwaters. Water bottles were sent as part of relief packages to the area, and Ha went on to incorporate the numerous empty plastic bottles rattling around town. In the past few weeks too, there have been reports of heavy rain and flooding in parts of western Europe. Nature continues to react to our interminable, addictive pattern of capitalist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 Cha Youn lives and works in western Europe. She moved to France in 1983 and has settled down since 2002. Her work revolves around her identity as a minoritized foreigner and outsider, focusing on the question of how we are to live together. This exhibition brings together the series Sweet Home, first begun in 1999 in Hanover, and introduces ha’s new work, Mat, Boat, Carpet, an installation piece made of plastic water bottles, a recurring material in Ha’s body of work that spans four decades.

매트, 보트, 카페트-나의 매트, 가족을 실을 배, 모두를 위한 양탄자

hachayoun

〈매트, 보트, 카페트-나의 매트, 가족을 실을 배, 모두를 위한 양탄자〉, 플라스틱 병, 노끈, 가변설치, 1988/2021

〈매트, 보트, 카페트-나의 매트, 가족을 실을 배, 모두를 위한 양탄자〉는 1,000여 개의 페트병을 이어 붙여 만든 설치 작업이다. 한 사람이 간신히 몸을 뉠 수 있는 매트는 뗏목의 일부로 긴 줄로 연결되어 있다. 가족, 마을이나 나라 같은 자신의 공동체를 떠나야만 했던 누군가의 삶이 가진 최소한의 면적을 매트로, 가족이 함께 탈 수 있는 작은 보트로, 그리고 원하는 이를 실어 하늘을 날 수 있는 마법의 카펫으로 역할한다. 1988년 작가가 체류했던 님므에서 발생한 엄청난 홍수에서 이 작업은 시작했다. 구호품으로 조달된 마실 생수병, 그 빈 플라스틱 병들이 도심에 수없이 굴러다녔던 상황을 제 예술 안에 담았다. 지금 서유럽에서는 또다시 유례없는 홍수를 겪어 내고 있다는 자연재해 소식이 들려온다. 소비 세계의 패턴을 끊지 못한 우리에게는 반복될 수밖에 없는 자연의 반응을 겪고 있다.

하차연은 1983년부터 프랑스와 독일에서 활동하였으며 2002년 프랑스에 정착했다. 작가는 프랑스에 거주하는 한국인으로, 세계화된 지금 모국에 살지 않는 이방인과 이주민으로서 삶을 스스로 인식하며, 퍼포먼스, 영상 작업, 오브제 작업, 사진 작업 등 다양한 작업으로 해석한다. 프랑스 님므(Nimes) 대학과 독일 브라운츠쉬바이크(Braunschweig)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이론과정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독일 본(Bonn) 예술기금(1992)을 수상하였으며, 독일 니더작센주 청년예술작가상 수상(1999), 파리 시테 데아르 아틀리에 체류예술진흥작가에 선정(2001)된 바 있다.

En Tibi Herbarium

goeunim

En Tibi Herbarium, slide projector, single channel video, variable size, 2022

*Sound collaboration with Post Industrial Boys (George Dzodzuashvili)

The cover of En Tibi Herbarium, one of the oldest herbariums in existence, is engraved with the inscription, “Here for you a smiling garden of everlasting flowers.”

This collection of specimens was a taxonomic book on the study of plants in the 16th century, and it became a canonical reference and was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This scientific research into nature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rationalism and provided one of stepping stones for causing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we are currently facing.

Im gathers memories while taking a walk in the garden. As a dislocated botanist, she explores what stories might grow if the reason and myths of Enlightenment progress germinated differently here and now. She discovers the traces of human life through the eyes of pearls and, with the movement of light and shadow, redraws the blueprint of the house we live in. Through this, she shows that the stories that have been hidden until now do not disappear, but go through sea-change, and become our precious and strange stories again.

“Can we really sense other beings intertwined like ghosts beneath the existing taxonomy? Can the words in silence, the light in the dark, and the life in death, that have thrived in isolation, gather to live together? Can we build a garden where eternal flowers smile for only you here, or for all of us who are connected to you?

The Other Garden; Joel’s Garden

goeunim

The Other Garden; Joel’s Garden, overhead projector, single channel video, variable size, 2021

There were rumours of another garden hidden among trees. This forgotten garden contains cycles of harmonious conflict and perpetual negotiation of life and death. Joel, a gardener, is a protector of the defenceless and a caretaker of many creatures. We retrace the dialogical gardens of Alfonse Karr, Karel Capek, and Doris Lessing and reconstruct Joel’s year with irregular and uneven months. Joel’s gentle blooms are sown in silence, and a frog, a bat, a bird, a snail, and a dolphin grow together with grass in this foreign garden. Although all is gone, the year turns its back and turns a corner.

Go-Eun Im is a filmmaker and visual artist who works with various media, such as analogue/digital film, photography, and found objects. In her work, she creates transitional memories with porous relationships between moving images and literature. More recently, she has focused on how to find a correlated language for bewilderment in the midst of ecological crises. Her work has been shown among others at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Oberhausen, European Media Art Festival in Osnabrück, the Kunstraum Dusseldorf, South African National Gallery in Cape Town, Museum Casino Luxembour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Seoul, and Ob/Scene Festival in Seoul.

여기, 당신을 위한 식물 표본집

goeunim

〈여기, 당신을 위한 식물 표본집〉, 80개의 자동 재생 슬라이드, 싱글 채널 비디오, 가변 크기, 2022

* Post Industrial Boys (George Dzodzuashvili) 사운드 제작 협업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식물 표본집 중 하나인 엔 티비 식물 표본집의 표지에는 ‘여기 당신을 위한, 영원한 꽃들이 웃음 짓는 정원이 있다’는 문장이 새겨져 있다. 이 표본집은 16세기의 식물 연구에 대한 분류학적인 내용을 담은 책으로 당시 하나의 이상적인 기호로 재배치되어 전세계에 유통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이후 이성주의와 합리주의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전 지구적인 생태 위기를 가져오는데 하나의 발판이 되었다.

작가는 계몽주의적인 이성과 진보에 대한 신화들이 지금 이곳에서 다르게 발아된다면 어떤 이야기들이 자라날 수 있을지에 질문을 가지며 탈구된 식물학자로서 정원의 시간을 뒤틀어 산책하며 기억을 수집한다. 진주의 시선을 통해 우리 삶의 흔적을 발굴하고, 빛과 그림자의 움직임으로 우리가 거주하는 집의 청사진을 다시 그린다. 이를 통해 그동안 숨겨져 왔던 이야기들이 사라지지 않고, 바다-변화를 겪으며, 다시 귀하고 기이한 우리의 이야기가 됨을 보여준다.

“기존의 분류체계를 벗어난 곳에서 우리는 유령처럼 얽혀 있는 다른 존재들을 과연 감각할 수 있을까? 추방된 곳에서 부유해 온 침묵 속의 말, 어둠 속의 빛, 죽음 속의 삶이 모여 함께 살아갈 수 있을까? 여기 당신, 아니 당신과 연결된 우리 모두 위해, 영원한 꽃이 웃음 짓는 정원을 우리는 일궈 나갈 수 있을까?

다른 정원; 조엘의 정원

goeunim

〈다른 정원, 조엘의 정원〉, OHP 오버헤드 영사기, 싱글 채널 비디오, 가변설치, 2021

또 다른 정원이 나무숲 사이에 숨겨져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 이 잊혀진 정원에서는 갈등이 조화롭게 반복되고, 질서와 무질서, 삶과 죽음이 그 경계를 끊임없이 새로 그어간다. 이곳의 정원지기 조엘은 연약한 존재를 보호하고, 정원에 머무는 다양한 생명체를 돌보는 인물이다. 우리는 알폰소 카(Alfonse Karr), 카렐 차페크(Karel Capek),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의 정원이 나누는 대화를 추적하며, 불규칙하고 고르지 못한 달(月)로 조엘의 한해를 재구성한다.

조엘의 조용한 꽃들은 이 낯선 정원에 말없이 씨를 뿌리고, 개구리와 박쥐, 새, 달팽이, 돌고래가 이곳에서 풀잎과 함께 자라난다. 모든 것이 사라지더라도, 조엘의 한 해는 지금을 뒤집고, 모퉁이를 돌아 다시 시작한다. 이렇게 정원에서 일어난 조우들은 작은 동그라미 안에서 새로운 사례를 만들며, 소문에서 우리의 기억으로 변형되어 전해진다.

임고은은 서울과 암스테르담에서 영상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영화를 둘러싼 시선의 주체와 객체, 과거와 현재, 진실과 허구의 변증법적인 관계를 엮어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드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해왔다. 여러 영화제와 전시를 통해 활동해 왔으며, 오버하우젠 국제 단편영화제, 서울 국제 실험영화 페스티벌, 유럽 미디어 아트페스티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아르코미술관, 옵/신 페스티벌 등에서 작품을 상영 및 전시한 바 있다. 최근에는 야생을 회복하기 위한 시적인 언어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 몰두하고 있다.

Bloodless

ginakim

Bloodless, 3D 360 Virtual Reality film, 12min, 2017

Bloodless is a VR film that deals with camp town sex workers for US army stationed in South Korea since the 1950s. The film traces the last day in the life of an actual sex worker who was brutally murdered by a US soldier at the Dongducheon Camptown in South Korea in 1992. Portraying the last hours of her life in the camp town, the VR film transposes a historical and political issue into a personal and concrete experience. This film was shot on location where the crime took place, bringing to light ongoing experiences at the 96 camp towns near or around the US military bases.

Tearless

ginakim

Tearless, 3D 360 virtual reality film, 12 min, 2021

Tearless is a VR film on “US military comfort women,” forc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serve US soldiers in camp towns outside the US military bases. Using immersive media technology, this project focuses on these women’s memories within a detainment center called “Monkey House”—a medical prison establish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staffed by the US military in the 1970s to isolate and treat US military comfort women with STDs.

*NOTE: While the term “comfort women”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Japanese imperial army’s use of sexual slavery during World War II,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used the term since 1951 to refer to “women who provide comfort service” to the U.S. military. The term is also used by the Supreme Court in its 2022 ruling on the state compensation lawsuit for the Camptown U.S. military Comfort Women.

Gina Kim is a filmmaker and professor. Her work looks past boundaries, whether those between East and West, the mainstream and the alternative, or the visual and the aural. Kim’s five feature-length films and works of video art have screened at more than 100 prestigio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venues including, Sundance, Cannes, Venice, and Berlin as well as MoMA, Smithsonian and Centre Pompidou. Her current work in VR explores its radical potential to facilitate empathy through an immersive experience centered on sound design.

동두천

ginakim

〈동두천〉, 3D 360 ° VR 영상, 12분, 2017

1992년 일어났던 동두천 성매매 여인의 죽음을 드러내는 VR 영화. 실제 사건이 일어난 동두천 캠프타운에서 촬영되었다. 주한미군에 의해 처참하게 살해된 한 여성의 마지막 순간을 시적으로 재현하고 체험하게 함으로써 영화는 정치적 이슈를 감각적 경험의 세계로 이끈다.

소요산

ginakim

〈소요산〉, 3D 360 ° VR 영상, 12분, 2021

〈소요산〉은 미군 위안부*에 대한 가상현실 영화이다. 〈동두천〉에 이어 김진아 감독의 미군 위안부 VR 삼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인 〈소요산〉은, 이 여성들을 감금하고 치료했던 “몽키 하우스”라는 수용소에 초점을 맞춘다. 몽키 하우스란 1970년대 초, 성병에 감염되었다고 추정되는 미군 위안부 여성들을 고립시키고 치료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설립하고 미군의 의약기술과 인력으로 운용한 감옥의 별칭이다.

*참고: 한국정부는1951년 보건부 예규에서 '위안부'를 '위안소에서 외군을 상대로 위안접객을 업으로 하는 부녀자'로 정의했으며 '미군 위안부'라는 용어는 한국 정부가 기지촌 여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1980년대까지 법령, 공문에서 일관되게 사용된 표현이다. 2018년 서울 고등 법원은 기지촌 여성들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소송에서 국가의 책임을 일부 인정하며 배상을 촉구했으며 판결문에서 ‘미군 위안부’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김진아는 동서양, 학계와 산업, 주류와 비주류, 지성과 감각의 경계를 허무는 영화감독이다. 교육자이자 작가인 김진아는 언어적, 인종적, 국가적 차이에 주목하면서도 그것을 초월하고자 한다. 그의 다섯 편의 장편 영화와 미디아 아트 작업은 칸느, 베니스, 베를린을 비롯한 유수의 국제 영화제와 뉴욕 현대미술관, 파리 퐁피두 센터, 국립현대미술관 등 150개 이상의 국제 영화제와 미술관에서 상영되었다.

'Ochetuji' ladder-bot

ByungjunKwon

'Ochetuji' ladder-bot, robot performance, 2022

The ladder robot that crawls and bows on the floor is a performance-type robot made by transformation and recombination of the GF1 produced in 2018 with the concept of 12 robots illuminating each other. The ladder, a tool for climbing up, moves horizontally, creaking like a giant caterpillar, and sings with a long whistle on the night of rest, it's a hard life.

*Ochetuji: It is a traditional Indian manner of showing the greatest respect to the other person by lowering oneself infinitely. Source: Buddhist Newspaper

Byungjun Kwon, a Seoul-based artist, started his career as a singer-songwriter in the early 1990s. Kwon’s oeuvre consists not only of six music albums whose genres range from alternative rock to minimal house, but musical operations and performative acts in diverse platforms of movie soundtracks, theatre, fashion show, and modern dance. He spent the late 2000s in the Netherlands studying art-science and working as a hardware engineer at STEIM, a research center for new musical instruments in the electronic performing arts. Since returning to Korea in 2011, he has developed and secured a certain niche in contemporary (visual) art by employing his characteristic sound and media.

오체투지 사다리봇

ByungjunKwon

〈오체투지 사다리봇〉, 로봇 퍼포먼스, 2022

바닥을 기어 다니며 절하는 *〈오체투지 사다리봇〉은 서로를 비추는 12대의 로봇들이란 콘셉트로 2018년에 제작된 GF의 변형과 재조합으로 만들어진 공연형 로봇이다. 위로 오르기 위한 도구인 사다리는 수평적으로 움직이며 거대한 애벌레처럼 삐걱거리는 행진을 이어가고 휴식의 밤에 긴 휘파람으로 자신의 고단한 삶을 노래한다.

*오체투지 : 한없이 자신을 낮춤으로써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인도 전통의 예법이다.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권병준은 1990년대 초반 싱어송라이터로 음악 경력을 시작하며 얼터너티브 록에서부터 미니멀 하우스를 포괄하는 6개의 앨범을 발표했다. 이후 2000년대부터 영화 사운드 트랙, 패션쇼, 무용, 연극, 국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음악 작업을 해왔다. 2005년부터는 네덜란드에서 거주하며, 소리학(Sonology)과 예술&과학(Art&Science)을 공부한 후 전자악기 연구개발 기관인 스타임 STEIM에서 공연과 사운드 등에 관한 실험적 장치를 연구, 개발하는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2011년 귀국한 이후, 새로운 악기, 무대장치를 개발, 활용하여 음악, 연극, 미술을 아우르는 뉴미디어 퍼포먼스를 기획 연출하였고 소리와 관련한 하드웨어 연구자이자 사운드를 근간으로 하는 미디어 아티스트로 활동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Mago Leymusoom

Heesoo Kwon

Mago Leymusoom, single channel video, 5min 25sec, 2022

Through Mago Leymusoom, Kwon reinterprets the myth of Magohalmi(마고할미신화), the creator goddess in ancient Korean mythology who created all of nature and its geographical formations of this universe, through the gesture of parturition with the 3D avatars of her mom and herself. In the 3D scanned model of the current Leymusoom shrine (Kwon's home studio in SF at the time of production), Kwon's mom becomes pregnant and gives birth to Kwon. By reimagining the process of childbirth as the birth of universe, their bodies as the main agencies conducting the sacred ritual, and the artist's current home studio as the ritual site, Kwon empowers her female ancestor's lives and celebrates the non-patriarchal view of the world on bodies and the nature.

Heesoo Kwon is a multidisciplinary artist from South Korea currently based in the Bay Area, California. In 2017, Kwon initiated an autobiographical feminist religion Leymusoom as an ever-evolving framework to explore her family histories and communal feminist liberation. After realizing herself as a product of Korean patriarchal society and the misogynist commercial field, she started to make art in order to shed off the burden as a Korean woman and redesign her feminist/queer life.

마고 레이무숨

Heesoo Kwon

〈마고 레이무숨〉, 싱글 채널 비디오, 5분 25초, 2022

〈마고 레이무숨〉은 작가의 자전적 페미니즘 종교 "레이무숨(Leymusoom)”에서 발전했다. 작가는 공간 3D 스캔을 통해 자신의 샌프란시스코 홈 스튜디오를 레이무숨 성지로 탈바꿈한다. 자연과 우주를 창조한 고대 한국 신화의 창조신, “마고 할미“의 신화를 재해석한 〈마고 레이무숨〉에서 디지털 아바타화된 어머니는 작가를 임신하고 출산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우주의 탄생에 비유되는 출산의 과정, 그 신성한 의식을 수행하는 주된 기관으로서의 여성의 신체를 드러낸다. 이는 여성의 몸으로 이어져온 모계 서사에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이자, 가부장제를 벗어난 자연과 신체에 대한 기념이다.

권희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이다. 작가는 자전적이며 공동체적 페미니스트 해방을 연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틀로써 2017년 종교 레이무숨(Leymusoom)을 창시했다. 작가 스스로가 한국 가부장제 사회의 산물이자 여성 혐오 상업계의 산물임을 깨닫고 페미니스트와 퀴어의 삶의 재구성하는 작업에 주목하고 있다.

REUS

Seulgi Lee

REUS, rope, mixed media, variable size, 2022

REUS is a sound installation work that generates sound with a rope connected between spaces. Pulling the rope at the entrance, the rope vibrates through the room and moves an object hanging from the end of the rope. In Flemish tradition, “REUS” meant the giant. Lee imagines a simple device to reveal a sound in the office rooms with people. According to where we are, how strong we are, and how many we are, the sound resonates differently in the spaces. REUS opens an imagination that the giant is a very small thing.

DEPATTURE

Seulgi Lee

DEPATTURE, single channel video, 25 min 51sec, 2019

DEPATTURE, in not-very-known French, means the soil glued on your shoes after the rain. In Poitou, west-central region of France, the memory of Gargantua is still alive, even Rabelais was inspired by his story. The depatture of the giant would have been some hills there. Seulgi Lee gathers old songs looking forward to meeting somebody who knows some bawdy songs sung by women. One can discover the landscape and lovers of traditional songs in this 25 min’s film.

Seulgi Lee lived in Paris since 1992 and her work focuses on the practice of comprehensive craft, intersection and correlation with language via her own experience. Including the experience in Mexico and Morocco, she has built a contemporary formative language, including the work of visualizing Korean proverbs in geometric patterns by utilizing quilts as a medium (cooperated with quilted quilt artisans in Tongyeong). Solo exhibitions of her work have been organized through WE ARE NOT SYMMETRICAL (la Casa da Cerca art centre, Almada, 2020), SOONER’S 2 DAYS BETTER (La Criée centre d’art contemporain, Rennes, 2019), SLOW WATER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Jousse Entreprise, Paris and Mendes Wood DM, Brussels, 2021-2022). Lee has also taken a part in group exhibitions such as The moment of ㄱ Giyeok (first Korean alphabet)* (Seoul Arts Center, Seoul, 2020), Born, A woman (Suwon Museum of Art, Suwon, 2020), Busan Biennale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Busan, 2020), a DONG DONG DARI GORI PROJECT (Korea Artist Prize, MMCA, Seoul, 2020), Minimalism-Maximalism-Mechanissmmmand (Kunsthal Aarhus, Aarhus, 2022), and Accélérations (Centre Pompidou, Paris, 2023).

러스

Seulgi Lee

〈러스〉, 밧줄, 혼합재료, 가변설치, 2022

Seulgi Lee © Adagp Paris 2022

〈러스〉는 공간 간에 연결된 밧줄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설치 작업이다. 입구에 자리 잡은 밧줄을 당기면, 밧줄은 사무실을 관통해 밧줄의 끝에 매달려 있는 물체를 움직인다. “러스REUS”는 플랑드르 지역에서 거인을 뜻하는 단어로 쓰였다. 우리가 어디에 위치해 있고 얼마나 강한지,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소리는 공간에서 제각기 다르게 공명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거인이 사실은 아주 작은 존재일 수 있음을 상상하기를 권한다.

데파튜르

Seulgi Lee

〈데파튜르〉, 싱글 채널 비디오, 25분 51초, 2019

이 영상은 ‘비가 올 때 신발 밑에 붙는 진득한 땅’을 뜻하는 잘 쓰이지 않는 옛 프랑스 단어인 데파튜르(DEPATTURE)에서 유래되었다. 프랑스에서 구전으로 전해오는 설화에 따르면 거인 가르강튀아(Gargantua)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걸어가다 쁘와뚜(Poitou) 지방에 머물다 일어났더니 거인의 장화 밑에 붙어 있던 진흙이 떨어져 언덕이 되었다고 한다. 한글과 영어로 자막 처리된 26분의 영상은 이제는 사람들이 잘 기억하지 못하는 전설 속 가르강튀아 거인 이야기와 프랑스 전통민요를 들려준다.

이슬기는 1992년 이래로 파리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험을 통한 포괄적 공예 실천과 언어와의 교차점, 상관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작가는 한국 속담을 기하학적 문양으로 시각화하여 이불을 매체로 이를 담아내는 작업(통영의 누비 이불 장인들과 협업) 및 멕시코와 모로코 등지에서의 경험을 비롯하여 동시대적 조형언어를 구축해 왔다. 〈느린 물,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쥬스 앙트르프리즈, 파리, 멘데스우드디엠, 브뤼셀, 2021-2022〉, 〈우리는 대칭이 아니다, 알마다시립미술관, 알마다, 2020〉, 〈빠를수록 이틀이 좋다, 라크리에 아트센터, 렌느, 2019〉, 〈다마스스, 갤러리 주스 앙트르프리즈 파리, 갤러리현대, 서울, 2017-18〉 등의 개인전과, 〈미니멀리즘-맥시멀리즘-메커니즈즈즘, 쿤스트할오르후스, 오르후스, 2022〉, 〈ㄱ의 순간, 예술의전당, 서울, 2020〉, 〈내 나니 여자라,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2020〉, 〈부산비엔날레, 부산현대미술관, 2020〉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한 바 있다. 이슬기는 〈올해의 작가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20〉에서 〈동동다리거리〉 프로젝트로 올해의 작가상 2020을 수상했으며, 2023년 파리 퐁피두센터에서 그룹전 〈악셀레라시옹〉에 참여할 계획이다.

Presented by Sound Art Korea, West Den Haag

주최: 웨스트 덴 하그, 사운드 아트 코리아

Sponsored by Arts Council Korea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ound Art Korea

사운드 아트 코리아

Directors: Baruch Gottlieb, Ji Yoon Yang

큐레이터: 바루흐 고틀립, 양지윤

Project Manager: Arreum Moon

프로젝트 매니저: 문아름

Coordinator: Hyewon Shin

코디네이터: 신혜원

Design: Dohyung Kim

디자인: 김도형

Web Design: Jinoon Choi

웹디자인: 최진훈

Design assistant: Jo Yerin

디자인 도움: 조예린

With the help of Team West Den Haag

도움 주신 분: 웨스트 덴 하그 팀

Links

사운드 아트 코리아

Sound Art Korea

instagram

facebook

West

website

instagram

Archive

2019

2018

2017

2007 - 2010

Simple Acts of Listening